삼성전자에서 자급제 보급형 모델인 J6(2018) 모델을 출시하였습니다.
※ 자급제폰이란?
통신사와 관계없이, 고객이 가전 제품을 구입하는 것처럼 개별적으로 구매할 수 있는 휴대폰을 의미합니다. 자급제폰을 구입하면, 사용을 위해서는 추가로 통신사 가입을 해야합니다.
최근 출시된 A6(2018) 및 와이드3와 비교하여 어떤 장점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
사양비교
3가지 모델에 있어 비교 우위을 가지는 항목을 빨간색으로 표시하였는데, 중급 라인업인 A6(2018) 모델이 전체적으로 우위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.
그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,
3가지 모델 모두 엑시노스 7870 모델을 사용하고 있습니다. 삼성전자에서 보급형 모델의 주력 CPU로 엑시노스 7870을 쓰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.
J6(2018)은 2GB 램을 탑재하고 있는데, J시리즈에서 나름 상급 모델임을 고려했을때 램은 적어도 3GB는 탑재했어야하지 않나 싶습니다. 2GB 램 모델을 최근 사용해본적은 없지만, 최근 하이엔드 모델의 경우 6GB까지 탑재되는 것이 추세임을 봤을때 2GB의 경우 상당히 버벅일 것이라 생각합니다.
디스플레이의 경우 J6 모델과 A6 모델이 HD+로 와이드3이 비해서 높은 해상도를 가지고 있으며, 미세하나마 더 큰 액정을 가지고 있어 좀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
카메라 같은 경우도 중급기인 A6(2018)과 비교했을때 낮은 사양을 가지고 있고, 완전한 보급형 모델인 와이드3와 비교해서도, 전면카메라의 경우 더 낮은 사양을 가지고 있는 점은 아쉬운 부분이라 할 수 있습니다.
허나, 무게에 있어서 와이드3 대비 약 27g, A6(2018) 대비 약 8g 정도 가벼운 것을 볼 수 있는데, 상당히 가벼운 무게로 잘 만들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.
가격 비교 - SKT 기준 비교
J6(2018) 모델의 경우 자급제폰으로써, 통신사에서 공시지원금을 받을 수 없습니다. 대신 가입시 선택약정 가입을 통해 요금제의 25%를 할인 받을 수 있습니다.
2년 약정을 한다고 했을때, J6(2018) 모델은 선택약정 가입을 기준으로, A6(2018) 및 와이드3 모델은 공시지원금을 기준으로 월 납부요금을 계산하여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- 월납부요금 계산기준
1) 약정기간(공통) : 2년
2) J6(2018) : 선택약정
3) A6(2018), 와이드3 : 공시지원금
<J6(2018) 월납부 요금>
<A6(2018) 월납부 요금>
<와이드3(WIDE3) 월납부 요금>
<J6(2018)와 A6(2018), 와이드3 월납부 요금 비교>
고요금제의 경우 선택약정 요금의 할인율이 높기 때문에, J6(2018) 모델이 우위를 가지고 있습니다만,
저요금제, 특히 band 데이터 세이브 요금제(거의 데이터 쪽에서는 기본 요금제라 할 수 있지요)를 기준으로 하면, 와이드3 모델이 월 기준 약 3,000월 가량 저렴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정리
1) 내장 저장용량 32GB는 납득이 가능하나, 메모리 2GB는 너무 작은 것이 아닌가?
2) 저요금제로 가입할 경우 와이드3 대비 무려 약 월 2,700원 가량 비싼 핸드폰!!
3) 현재 와이드3가 품절된 상태에서는 나쁘지 않은 선택!
'휴대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헬로모바일 해지 후 미납요금 납부 방법 (0) | 2020.11.14 |
---|---|
LG X5(2018) vs 갤럭시J6, X4 사양 및 가격 비교 (0) | 2018.08.16 |
LG G7, G7+ 공시지원금 상승! - 사양 및 판매가 확인! (0) | 2018.07.09 |
갤럭시 A8 STAR 신규 출시! 갤럭시S8과 비교 (0) | 2018.07.06 |
삼성 갤럭시 A6(2018) 출시! - A7(2017),와이드3와 비교 (0) | 2018.06.29 |
댓글